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늘보나무입니다.
4월 19일, 이 황당한 유가의 출연의 시작이었을까요. 미 동부시간 19일 밤에 거래가 시작된 국제원유시장에서 큰 폭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유가는 미국의 벤치마크라고 불리우는 서부텍사스원유 WTI 의 5월물 가격이 문을 열자마자 배럴당 14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당연히 투자자들은 매우 놀랐고, 그러나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20일에는 오후 12시에는 5달러 선까지, 오후 2시에는 1달러 그러자 겪어보지 못했던 마이너스 유가로 가라앉았습니다. 이것도 끝이 아니었고, 한번 마이너스를 뚫더니 한때 배럴당 -40.32달러까지 기록하다 그날 종가 -37.63달러로 마감했습니다. 17일에 18.27달러에서 305% 폭락한 겁니다. 이런 가격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1. 선물거래, 현물을 인수해야 한다?
WTI 만기는 4월 21일이고, 그때 하루 남은 상황이었습니다. 대부분의 선물 트레이딩에서는 당연히 이것을 종이 또는 전자문서로만 거래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 선물을 거래하는 상황에서는 5월에 원유을 실제로 인수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릅니다. 실수요자도 사라진 상황에서 계속 원유를 캐고 있으니 저장할 곳이 없는 상황에 계약은 했으니 이제 선물 트레이더가 실제 물건을 인수해야하는 상황인거죠. 추측컨데, 종이로만 거래했던 선물 트레이더들이 거래된 선물을 실제 현물로 인수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이와같은 패닉 장을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감산한다고 얘기하던 석유수출국기구 OPEC 의 감산도 가까스로 합의는 되었으나 5월달부터 시작됩니다. 같이 타격받고있는 셰일오일(가스) 원유사들도 같이 양을 줄이기 시작했지만 정지하지는 못합니다. 기계를 멈췄다가 다시 돌리는 것이 어렵듯, 석유도 시추를 멈추었다가 다시 재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생산을 최소화 하면서 다음을 도모하는 곳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원유 재고가 넘쳐납니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 EIA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 재고는 지난주 기준으로 2,000만 배럴 가까이 늘었다고 합니다. 거기에 주 고객인 항공사들도 기름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당연히 기름을 살 이유가 없어집니다. 사는 사람들은 없고 팔겠다는 사람들만 가득합니다. 파이프라인도 꽉 차고, 유조선에도 기름이 가득 찼는데 도대체 어디로 옮겨야 할 지를 모릅니다.
2. 6월 가격은 아직 배럴당 20달러선
이번에 추락한 유가는 5월에 거래되는 물건에 한해서입니다. 6월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는 편이라 6월 거래에서는 아직 20달러선에 거래되고 있지만, 그나마도 하락한 가격입니다. 6월 거래는 5월 19일에 거래가 만기 됩니다. 그래도 그때면 사람들이 움직이고 조금 활기를 띄지 않을까라는 희망섞인 상황들이 반영이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데로, 5월부터는 OPEC 의 감산도 시작됩니다.
하지만 지금의 패닉장을 맛본 선물 거래업체들과 선물 트레이더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두 번 다시 겪고싶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6월 거래를 좀 더 빨리 마감하거나, 아예 6월 거래에 대해서 손을 대지 않고 그 다음달의 거래로 가는 방향을 생각하지 않을까라고 관측하고 있습니다.
3. 뉴욕 증시는 괜찮다.
이 기록적인 하락이라면 증권가에도 엄청난 영향을 주어 주가도 폭락했을거라 생각하지만 겁냈던 것 보다는 영향이 덜합니다. 하지만 이 시장을 지켜본 월스트리트의 관계자들은 경계하며 확대될 지에 대해서 예의 주시하고 있는 중입니다. 현재는 괜찮지만 계속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증권가에도 심대한 타격을 줄 지 모릅니다.
4. 그럼 이때, 우리나라가 기름을 많이 사놓으면?
우리나라도 기름을 무작정 저장할 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국내 정유 4사의 탱크도 이미 모두 다 차있고 기름을 실은 유조선이 따로 보관을 할 곳이 없어 제주도에서 대기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제주 앞바다에 보관하는 비용만 하루에 5천만원, 1200만 배럴의 우리나라 저장공간중 남은 공간은 4% 불과합니다.
우리나라는 산유국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기름을 정제해 다시 파는 일종의 가공무역으로 석유화학공업을 이어가고 있는데, 현재 저유가 때문에 발생하고있는 손실이 3조원에 이를 정도라고 해 정유업체는 엄청난 마이너스를 감수하며 공장을 돌리고 있는 중이라는것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국가에도 엄청난 손실이 될 것입니다.
어서 빨리 이 혼란이 수습되고,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어 다시 이전의 삶을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지금까지 늘보나무였습니다!
'사실과 뉴스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어디서 사용가능할까? (0) | 2020.05.18 |
---|---|
구글 미트 Google Meet 전면 무료 선언 (0) | 2020.05.01 |
혈장치료로 코로나19 완치 - 코로나 치료에 전기 마련? (0) | 2020.04.07 |
소득하위 70% 가구 대상 긴급재난지원금 기준 (0) | 2020.04.03 |
2020년 4월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제외 안내문 (0) | 2020.04.02 |